1.21

From CSBLwiki

(Difference between revisions)
Jump to: navigation, search
(대장균순수배양실험)
(대장균순수배양실험)
 
(3 intermediate revisions not shown)
Line 1: Line 1:
=DNA 전기영동=
=DNA 전기영동=
-
EtBr을 녹인 액체한천을 전기영동 틀애 붓고 comb을 이용해서 14개의 wall을 만든다. 그 위에 젤이 잠기도록 버퍼를 붓는다. ×5 loading dye (loading buffer)를  원래는 dye 1 : DNA 4 로 혼합하지만 보통 dye 1 : DNA 2로 혼합한다. 피펫팅으로 혼합시킨 후 각 wall에 주입하고 1번 wall에 마커를 넣는다. 그리고 100V에 30min으로 전압을 걸어준다. 30분 후 젤을 꺼내어 자외선램프에서 결과를 확인한다.
+
EtBr을 녹인 액체한천을 전기영동 틀애 붓고 comb을 이용해서 14개의 wall을 만든다. 그 위에 젤이 잠기도록 버퍼를 붓는다. ×5 loading dye (loading buffer)를  원래는 dye 1 : DNA 4 로 혼합하지만 보통 dye 1 : DNA 2로 혼합한다. 피펫팅으로 혼합시킨 후 각 wall에 주입하고 1번 wall에 마커를 2만큼 넣는다. 그리고 100V에 30min으로 전압을 걸어준다. 30분 후 젤을 꺼내어 자외선램프에서 결과를 확인한다.
 +
 
 +
단위 : 마이크로리터
cf) loading buffer 성분 조사
cf) loading buffer 성분 조사
Line 7: Line 9:
1. 분자량이 큰 sucrose, ficoll, glycerol이 DNA에 무게감을 줘서 전기영동동안 뜨지않고 가라앉게 해준다.
1. 분자량이 큰 sucrose, ficoll, glycerol이 DNA에 무게감을 줘서 전기영동동안 뜨지않고 가라앉게 해준다.
-
2. DNA와ㅠ섞여서 loading되는 dye 성분으로 BPB(bromophenol blue)와 XC(xylene cyanol)이 있다. 이들은 charge가 있어서 전기영동 중에 DNA보다 빨리 내려가 대강 로딩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한다.
+
2. DNA와 섞여서 loading되는 dye 성분으로 BPB(bromophenol blue)와 XC(xylene cyanol)이 있다. 이들은 charge가 있어서 전기영동 중에 DNA보다 빨리 내려가 대강 로딩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한다.
=대장균순수배양실험=
=대장균순수배양실험=
Line 13: Line 15:
DH5a와 BL21 (DE3) 해동 후 클린벤치에서 LB plate 에 도말
DH5a와 BL21 (DE3) 해동 후 클린벤치에서 LB plate 에 도말
-
도말 방법 : 백금이를 가열하고 1번 도말, 백금이 가열하고 2번도말, 뱍금이가열하고 3,4번 도말
+
도말 방법 : 백금이를 가열하고 1번 도말, 백금이 가열하고 2번도말, 백금이가열하고 3,4번 도말
[[File : 도말방법.png]]
[[File : 도말방법.png]]
Line 21: Line 23:
플레이트 뒷면에 날짜,실험자이름,균주명 쓰기-플레이트윗면은 바뀔수잇기때문에
플레이트 뒷면에 날짜,실험자이름,균주명 쓰기-플레이트윗면은 바뀔수잇기때문에
-
플레이트는 항상 뒤집은 상태로 있어야한다-아누뒤집으면 물방울이 천장에 맺혀서 물방울이 떨어지면 감염 위험 밑 싱글콜로니 분산
+
플레이트는 항상 뒤집은 상태로 있어야한다-안뒤집으면 물방울이 천장에 맺혀서 물방울이 떨어지면 감염 위험 밑 싱글콜로니 분산
cf) DH5a는 형질전환 확률이 높은 strain
cf) DH5a는 형질전환 확률이 높은 strain
-
      BL21 (DE3)는 외부단백질 과다발현시킬때 쓰는 strain, 특히 T7프로모터로 원하는 단뱍질을 induction 할 때
+
cf) BL21 (DE3)는 외부단백질 과다발현시킬때 쓰는 strain, 특히 T7프로모터로 원하는 단뱍질을 induction 할 때

Latest revision as of 01:59, 14 February 2013

DNA 전기영동

EtBr을 녹인 액체한천을 전기영동 틀애 붓고 comb을 이용해서 14개의 wall을 만든다. 그 위에 젤이 잠기도록 버퍼를 붓는다. ×5 loading dye (loading buffer)를 원래는 dye 1 : DNA 4 로 혼합하지만 보통 dye 1 : DNA 2로 혼합한다. 피펫팅으로 혼합시킨 후 각 wall에 주입하고 1번 wall에 마커를 2만큼 넣는다. 그리고 100V에 30min으로 전압을 걸어준다. 30분 후 젤을 꺼내어 자외선램프에서 결과를 확인한다.

단위 : 마이크로리터

cf) loading buffer 성분 조사

1. 분자량이 큰 sucrose, ficoll, glycerol이 DNA에 무게감을 줘서 전기영동동안 뜨지않고 가라앉게 해준다.

2. DNA와 섞여서 loading되는 dye 성분으로 BPB(bromophenol blue)와 XC(xylene cyanol)이 있다. 이들은 charge가 있어서 전기영동 중에 DNA보다 빨리 내려가 대강 로딩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한다.

대장균순수배양실험

DH5a와 BL21 (DE3) 해동 후 클린벤치에서 LB plate 에 도말

도말 방법 : 백금이를 가열하고 1번 도말, 백금이 가열하고 2번도말, 백금이가열하고 3,4번 도말

도말방법.png

cf) 주의사항 :

플레이트 뒷면에 날짜,실험자이름,균주명 쓰기-플레이트윗면은 바뀔수잇기때문에

플레이트는 항상 뒤집은 상태로 있어야한다-안뒤집으면 물방울이 천장에 맺혀서 물방울이 떨어지면 감염 위험 밑 싱글콜로니 분산

cf) DH5a는 형질전환 확률이 높은 strain

cf) BL21 (DE3)는 외부단백질 과다발현시킬때 쓰는 strain, 특히 T7프로모터로 원하는 단뱍질을 induction 할 때

Personal tools
Namespaces
Variants
Actions
Site
Choi lab
Resources
Toolbox